2016년 1월, 당시 박" />
2016년 1월, 당시 박"/>

[더뉴스 앵커리포트] 역대 대통령 기자회견 '변천사' / YTN

2019-01-07 47

"제가 머리가 좋으니까 질문을 다 기억하지..."

2016년 1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기자들 질문이 잇따르자 농담조로 한 말입니다.

일부 언론에서 '박근혜 특유의 구어체 화법'으로 평가되기까지 한 이 말로 기자회견의 의외성과 현장감이 돋보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회견은 질문과 순서 등이 모두 짜여져 있었다는 사실이 들통나면서 '각본 회견'으로 비판 받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이 이번 주 목요일 열립니다.

올 한 해 국정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대통령이 직접 사회를 보며 기자들과 문답을 주고받는 토론이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방식은 이른바 '각본 회견'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합니다.

'각본 회견' 이전에는 어땠을까요?

대통령 기자회견의 변천사를 살펴보겠습니다.

대통령이 새해에 기자회견을 여는 건 박정희 대통령 때부터 시작됐습니다.

국회에서 연설을 통해 새해 국정 운영 방향을 설명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1968년 처음으로 기자회견을 도입했습니다.

물론 짜여진대로 이뤄졌습니다.

정해진 질문을 기자들에게 배당했고 대통령은 준비된 답변을 내놓는 형식이었습니다.

전두환 정권 때는 오히려 후퇴했습니다.

집권 초기에는 국정연설로 대신했고 1985년에 기자회견 방식을 부활시켰지만 역시 질문과 답은 사전에 정해져 있었습니다.

준비한 각본대로 움직인 기자회견은 노태우 전 대통령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작은 변화는 김영삼 대통령 때부터 이뤄졌습니다.

청와대가 질문을 정리하긴 했지만 질문 내용을 만드는 건 기자들의 역할이었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직접 국민과 대면하는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신년 기자회견 대신, '국민과의 TV 대화' 행사를 열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일반 국민과 질의 응답하는 방식을 시도했습니다.

기자들이 대통령에게 질문하기 위해 앞다퉈 손을 드는 모습은 노무현 대통령 때가 처음이었습니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자유 질문' 형식이 도입됐습니다.

다시 후퇴가 이뤄진 시기는 이명박 정부 때였습니다.

신년 기자회견 대신 청와대 참모들만 배석시킨 자리에서 국정연설을 했고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은 없었습니다.

가끔 열리던 기자 간담회에서도 적은 질문에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습니다.

일방적 연설에 이어 각본, 그리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10714122641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